ECol
Toggle navigation
  • 0
  • 회원가입  |  정보찾기
  • 안내
    • 모아보기
    • 에듀콜라(EduColla)란?
    • 저자 소개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공지사항
    • 우리가 걸어온 길
  • 수업과 학급살이
    • 모아보기
    • 수업과 학급살이
  • 뉴스와 리뷰
    • 모아보기
    • 뉴스와 리뷰
  • 에세이
    • 모아보기
    • 에세이
    • 유동현 #학급화폐 #독서 #6학년
  • 부캐
    • 모아보기
    • 부캐
  • 집필진 게시판
    • 모아보기
    • 이은진 #인권교육 #학부모
    • 나승빈 #긍정훈육 #학급살이
    • 도대영 #소통 #공감교육
    • 김백균 #수업 #통제감
    • 김보법 #미술교육 #사진일기
    • 김진영 #교실 #제국 #잡설
    • 이보명 #감성놀이 #학급살이
    • 유새영 #슬로리딩 #어린이문학
    • 윤희정 #슬로리딩 #동화읽기
    • 박세진 #전담교사 #학급살이
    • 조유진 #학급살이 #놀이
    • 김하중 #일상 #실험 #실패
    • 박영민 #미래교실
    • 유루시아 #교단일기 #성찰 #교실툰
    • 김성영 #교실살림 #리뷰
    • 권보람 #육아#관계#부모
    • 이서로 #복직 #슈퍼우먼 #엄마교사
    • 김지혜 #온작품읽기
    • 서성환 #교사만남 #훈화말씀
    • 손명선 #생태민주주의 #모두의미술시간
    • 황의석 #시네마테라피 #영화로운교실
    • 서영인 #수업비평 #교육의정의
    • 심성익 #30대예비교사 #다양성
    • 차유미 #교실농사 #발명 #고학년
    • 천상희 #경제금융교육 #경제놀이
    • 김은진 #교실살림 #교실놀이 #생각
    • 김태희 #고학년 #관계 #게임
    • 박병주 #교육연극 #놀이 #그림책
    • 민지예 #책쓰는교실 #온작품 #자치
    • 정혜란 #사진 #여행 #학급살이
    • 정명근 #스마트 #거꾸로교실 #수업
    • 송은아 #특수교육 #소통
    • 정샛별 #음악수업 #뮤지컬
    • 김은주 #고학년 #학생중심 #과학동아리
    • 유지선 #대안교육 #실천교육
    • 김기동 #교사학생 #일상 #국어는쉽다
    • 양인선 #미술교육과상식 #미지의세계
  • 특집/자유
    • 모아보기
    • 특집
    • 자유
    • 에듀캐스트
    • 에듀미디어
    • 에듀북스
  • Talk Talk!
  • 하다HADA
    • 모아보기
    • HADA 소개
    • 미술수업 프로젝트
      • 프로젝트 주제글
      • 프로젝트 실천글
    • 미술수업
      • 미술체험활동
      • 미술표현활동
      • 미술감상활동
    • 미술놀이
    • 미술문화
      • 미술 상식
      • 관람기
    • 미술수업 실패기
    • '하다' 개발 교구
    • '하다' 모임 사진첩
    • 미술교육과정 연구
    • HADA 저자들
  • 에듀씨네
    • 모아보기
    • 월간 에듀씨네
    • 이달의 추천영화
    • 영화수업 아이디어
    • 질문이 있는 영화수업
    • 영화 읽어주는 샘들
    • 단편 애니메이션/영화
    • 영화제 추천 영화
    • 선생님들을 위한 영화
    • 영화 제작 이야기
    • 에듀씨네 저자들
  • Book극곰
    • 모아보기
    • 북극곰 소개 및 곰들!
    • 좋은 어린이책을 소개합니다.
    • 저학년 Book극수업
    • 중학년 Book극수업
    • 고학년 Book극수업
    • 청소년 Book극수업
  • KATOM(카톰)
    • 모아보기
    • KATOM(카톰) 저자들
    •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
    • 가짜뉴스와 허위정보
    • 교실 속 미디어 수업
    •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 휴먼
    • 미디어리터러시 추천 도서 및 방송
  • 에콜 아카이브
    • 모아보기
    • 안홍정 #업무팁 #PC팁
    • 황성진 #미립자팁 #넋두리
    • 김연민 #교실 #문제해결
    • 홍수빈 #소프트웨어 #스마트
    • 장은정 #교사성장 #학급꿀팁
    • 김서연 #영어 #국제교육개발협력
    • 정준영 #긍정훈육
    • 이준수 #사유 #그림책
    • 나영상 #사유 #비판 #육아
    • 양은석 #협력수업 #수업여행
    • 정선아 #성장 #학급살이
    • 한상모 #체육수업
    • 김경훈 #역사교육 #토의토론
    • 김성규 #수업일기 #보드게임
    • 서희정 #인성 #역량 #도전기
    • 배영훈 #교대생 #사유
    • 김다은 #수업놀이 #5학년 #새내기
    • 김여진 #어린이책 #식물 #창작
    • 이현아 #그림책 #어린이작가 #창작
    • 김수연 #6부장 #일상 #독립출판
    • 이은총 #수업디자인#실천기록
    • 안수민 #1학년 #책살이 #인터뷰
    • 최한솔 #쾌락독서 #같이읽기 #생각
    • 고채영 #비교과 #전문상담 #고민해결
    • 우진아 #6학년 #교단일기 #작은학교
    • 최다혜 #절약 #미니멀라이프 #소비
    • 우서희 #생각대화 #잡지 #창작
    • 이승기 #1학년 #미디작곡 #연구학교
  • 6 명 현재 접속자
  • 783 명 오늘 방문자
  • 2,470 명 어제 방문자
  • 76,123 명 최대 방문자
  • 8,898,324 명 전체 방문자
  • 4,136 개 전체 게시물
  • 6,043 개 전체 댓글수
  • 12,863 명 전체 회원수
홈 > 집필진 게시판 > 유새영 #슬로리딩 #어린이문학
유새영 #슬로리딩 #어린이문학

책읽는유쌤 [유쌤의 Book극 이야기] 23. 내 소문 들었어?(읽기 전 활동)

2 책읽는유쌤 3 1825 2 2019.09.26 00:34


 

 

 책과 교육연극의 만남, Book극이야기! 오늘은 Book타임입니다.  오늘은 작품과 아이들의 경험을 연결하기 위해 실천했던 읽기 전 활동 '내 소문 들었어?' 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의미를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독서란 이 작품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끊임없이 되묻는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1학기에 아이들과 책을 읽으며 재미와 흥미에 중점을 두고 수업을 했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책 읽는 기쁨을 알게 되었습니다. 2학기에는 좀 더 깊은 독서경험으로 아이들을 안내하고 싶었습니다.  작품을 함께 읽으며 자신만의 의미를 만들어 갈 수 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어떤 책을 함께 나눌까 고민하다가 2019년에 출간된 《4학년 2반 뽀뽀 사건》(글 정주영/그림 국민지)을 만났습니다. 이 작품은 황당한 소문 때문에 억울하고 난처한 상황에 놓이게 된 4학년 지아가 친구들과 함께 힘을 모아 진실을 밝혀 나가는 과정을 담은 이야기입니다.

 

 

 

 자신도 모르는 소문 때문에 고통을 받고 있는 지아와 이를 함께 해결해주려는 친구들은 잘못된 소문을 바로 잡는 아이들이라는 뜻의 '잘바아'라는 모임을 만들게 됩니다. 잘바아 아이들은 소문의 근원을 찾아내기 위해서 조사를 시작하고 이 과정에서 남자아이들은 남자가 범인일 것 같다는 선입견 때문에 자신들이 피해를 봤다며 소문때문에 피해를 본 아이들이라는 뜻의 '소피아'를 결성합니다.

 

 4학년 2반 뽀뽀 사건은 겉으로 보면 단순히 소문을 만들어 낸 사람을 찾아내는 추리서사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이 작품이 말하고 있는 것은 '나와 타인의 잘못된 소문에 대해 우리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를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한 읽기 전 활동이 '내 소문 들었어?'입니다.

 

첫번째 만남. 내가 생각하는 나를 표현하기

 

 작품과 아이들의 경험을 연결하기 위해서 먼저 자기가 생각하는 '나'의 모습, '자화상'을 은유거울에 비추어 표현할 수 있도록 안내했습니다. 은유거울이란 자신을 다른 사물이나 숫자, 시간 등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으로 이현아 선생님께서 Book극곰 특강에 오셔서 알려주신 활동입니다.

 자신의 모습을 표현할 종이를 고를 때에도 좋아하는 색을 선택할 수 있게 기회를 주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이 활동은 능동적으로 자신의 모습을 떠올려보고 표현해 볼 수 있게 하는 활동이었습니다.

 


 

 "나는 사이다야. 왜냐하면 톡톡 튀는 사이다처럼 항상 뛰고 싶거든!"

 "나는 50%야. 항상 에너지가 50%정도 차 있는 느낌이거든!"

 

 

 

두 번째 만남. 다른 사람이 바라보는 나 만나기

 

 첫 번째 활동에서 내가 바라보는 나에 대해서 생각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면 이번에는 다른 사람이 바라보는 나를 만날 시간입니다.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그 사람들이 본 나에 대한 이야기를 얻어 올 것입니다. 하지만 그 이야기를 나는 알 수가 없습니다. 그 이야기는 등 뒤에 붙어 있을 것이기 때문이죠.





 

 

*다른 사람이 바라보는 나 활동하기

1. 자유롭게 돌아다니면서 만나는 친구와 인사를 나눈다.

2. 선생님이 던지는 질문에 맞추어 서로에 대한 정보를 주고 받는다(노란색 질문).

3. 이야기가 끝나면 질문에 맞추어 상대방에게 어울리는 답을 붙임종이(라벨지)에 써서 등에 붙여준다.

4. 4명의 사람을 만나고 돌아온다.

5. 등 뒤에 '내가 알지 못하는 나에 대한 정보'를 붙인 채 2분간 걷는다.

6. 자리에 앉아 '내 정보'를 등에서 뜯어 확인한다.


 


 친구를 만나 이야기를 주고 받았습니다. 최근에 본 책이나 영화, 좋아하는 음식 같은 취향에 관계된 이야기들을 나눴습니다. 그리고 상대방에게 어울리는 사소한 정보(소문)를 만들어 붙임 쪽지에 쓰고 서로의 등에 붙여주었습니다(이 때 사소한 정보는 꼭 민감하지 않는 것 이어야 하고 아이들과도 서로를 위한 배려약속을 꼭 해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네 명의 친구를 만났더니 등에 총 네 개의 정보가 붙어있게 되었습니다.




 

 

세 번째 만남. 내가 알지 못하는 내 소문을 가지고 교실 걷기

 

 내가 알지 못하는 나에 대한 소문이 등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2분간 교실을 걸었습니다. 그리고 자기 자리에 앉아서 친구의 도움을 받아 정보를 확인하고 처음 자신을 표현했던 종이 네 귀퉁이에 이 정보들을 붙였습니다. 

 

 

 

네 번째 만남. 내 감정 확인하기

 

 나도 모르는 내 정보를 다른 사람들이 들여다 보고 있을 때 어떤 감정이 들었는지 생각해보고 낱말로 표현해 볼 수 있도록 안내했습니다. 다양한 표현을 위해 감정카드를 한 장씩 읽어주었고 아이들은 이를 참고하여 자신의 감정을 돌아보았습니다. 

 결과는 아주 흥미로웠습니다. '두근거림', '즐거움' , '웃긴' 과 같은 긍정적 감정을 주로 표현한 아이들이 있는 반면에 '불안함', '후회', '답답함'을 나타낸 아이들도 있었습니다. '후회'라는 낱말을 표현한 아이에게 까닭을 물었습니다.


유쌤: "후회라는 말을 쓴 까닭을 말해 줄 수 있겠니?"

시우: "다른 친구에 대한 정보를 쓸 때 더 잘 써 줄 걸 하는 마음이 들었어요."



 

다섯 번째 만남. 작품과 경험 연결하기

 

 

 

"2학기에는 여러분과 《4학년 2반 뽀뽀사건》이라는 책을 함께 읽을거예요. 이 책에는 여러분처럼 자신도 모르는 거짓소문 때문에 힘들어하는 친구의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이제부터 이 이야기를 함께 읽어볼까요?"

 

 아이들의 경험과 주인공의 상황을 연결해 자연스럽게 작품으로 아이들을 안내했습니다. 아이들이 책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거짓 소문을 만든 범인을 찾는 것보다 이 상황을 주인공은 어떻게 대처해 나갈 것인가에 더 집중했습니다.


 스토리(서사)에 대한 흥미보다 작품이 독자에게 주는 의미는 더 큰 울림으로 남습니다. 이제부터 아이들과 이 작품을 가지고 새로운 의미들을 만들어갈 계획입니다.  주인공의 상황 뿐만 아니라 이 상황을 바라보는 주변 인물들의 모습도 자세히 들여다보려고 합니다. 같은 경험을 하고서 다른 반응을 보인 우리반의 모습을 이야기로 끌어오려고 합니다.

 

 과연 어떤 이야기들이 펼쳐질까요?

 

  책과의 첫 만남, 화려한 수업기술이 아니라 아이들의 경험과 삶을 작품과 연결해 보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4학년 2반 뽀뽀사건 》의 읽기 전 활동으로 진행했던 '내 소문 들었어?' 활동 소개를 마칩니다.

 

P.S. 아이들과 직접 실천해 본 활동만을 앞으로도 소개하겠습니다.

*유쌤의 Book극 이야기 연재

01. 아이들과 천천히 깊게 나누어 볼 책들을 소개합니다(2018)

02. 책조각으로 상상을 나누다. - 읽기 전 활동으로 작품에 애정 갖기

03. 쉽고도 어려운 핫시팅! 학급 모두를 주인공으로!

04. 호기심 상자로 이야기 상상하기 - 저학년 읽기 전 활동으로 작품 예상하기

05. 교육연극을 시작하기 전에 놀큐(Q) 키우기!

06. 수업 시작 전, 책을 먼저 읽은 아이가 있다면?

07. 생각과 배려를 키우는 연극놀이

08. 꾸준히 정리하면 이야기 지도가 완성된다.

09. 배려와 웃음을 나눌 수 있는 연극놀이, 틀림그림찾기

10. 이야기지도를 건너 감정그래프 그리기 

11. 유쌤, 교육부 장관이 되다._책으로 연극적 상황 만들기

12. 미술작품을 통해 생각 나누기

13. 낭독극으로 함께 읽는 즐거움을 누리다!

14. 학교에서 수박이 먹고 싶으면

15. 아이들과 천천히 깊게 나누어 볼 책들을 소개합니다(2019)

16. 모나미로 말해요!(읽기 전 활동)

17. 페르소나 - 모둠친구들과 함께 가상의 인물 만들기

18. 다르게 바라보기 - 눈을 감고 느끼는 색깔여행

19. 주변 인물에 초점 맞추기 - "선생님, 바퀴벌레는 얼마나 기분이 좋았을까요?"

20. 여덟 단어 - 여덟 단어로 책 한 권 요약하기

21. 연극하며 시쓰자! - 교육연극으로 함께 시쓰기

22. 칠판에 딱 붙은 아이들

23. 내 소문 들었어?(읽기 전 활동)


 한 학기 한 권 읽기과 교육연극을 연결지점을 고민하고 연구한 결과를 원격연수에 담았습니다.

 

아이들과의 실제 수업장면이 15차시 이상이라 저와 우리반 아이들에게는 큰 추억으로 남았습니다. 책과 교육연극 수업의 연결지점을 고민하고 계신 선생님들께 추천드립니다.​

아이스크림연수원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http://teacher.i-scream.co.kr/course/crs/creditView.do?crsCode=1128&sso=ok



 

 

2

Author

2 책읽는유쌤  저자(author)

책 읽는 유쌤.
작품 속에서 주인공이 비를 맞으면 아이들과 우비를 입고
운동장에 나가서 함께 비를 맞아보는 교사.
책을 함께 읽으며 마음을 나누는 온작품읽기, 슬로리딩, 천천히 읽기, 자세히 읽기를 실천하고 있다.

저서- 맛있는 책 수업 천천히 깊게 읽기(지식프레임)

알라딘 : http://reurl.kr/2BF8E5EDET
교보 : http://reurl.kr/2BF8E5F0TT
예스24 : http://reurl.kr/2BF8E5F1NX
인터파크 : http://reurl.kr/2BF8E5F2RC

블로그- 의자를 신고 달리는 교실 - http://blog.naver.com/freecliff
어린이문학 플랫폼 책가방(어린이 책이 가득한 방) - https://goo.gl/n1Z1q5
아이스크림 연수 https://bit.ly/2XjEay6

3 Comments
1 서성환 2019.09.26 15:45  
답변
멋져요 ㅎㅎㅎ
제가 연극을 좀 잘하믄 해볼텐데 말입니다
용기가 잘 안나요 ㅠㅠ
2 책읽는유쌤 2019.09.26 20:08  
답변
저는 선생님 연기 좋아해요! 똘짓 팬입니다ㅎ
1 서성환 2019.09.27 11:45  
답변
그 정도면 수업에 쓸만 한가요???
댓글은 자신을 나타내는 '얼굴'입니다. *^^*
등록
이모티콘 새댓글 작성 댓글 새로고침 입력창 늘이기 입력창 줄이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목록
2022.11.06

[생태수업]바다유리로 업사이클 목걸이 만들기+영상

2 책읽는유쌤 0    78
2020.08.01

《맛있는 책 수업 천천히 깊게 읽기》 부록자료 다운로드

2 책읽는유쌤 0    1,243
2020.08.01

에듀콜라 연재글이 한 권의 책이 되기까지

2 책읽는유쌤 8    1,601
2020.08.01

헌터걸③ 천천히 깊게 읽기(온작품읽기) 수업 이야기

2 책읽는유쌤 2    971
2020.07.31

[헌터걸3 수업공개] 헌터걸과 피리부는 사나이

2 책읽는유쌤 3    1,175
2020.05.02

[유쌤의 Book극 이야기] 28. 4학년 2반 뽀뽀 사건

2 책읽는유쌤 3    1,896
2020.05.01

[책가방 x 똥시집 콜라보] 하루에 한 편씩 똥시로 마음을 나눠보세요!

2 책읽는유쌤 0    2,009
2020.04.30

[유쌤의 Book극 이야기] 어린이들과 천천히 깊게 나누어 볼 책들을 소개합니다.(2020).

2 책읽는유쌤 2    3,055
2020.04.30

온라인 책 수업, 다들 어떻게 하고 있나요?

2 책읽는유쌤 4    1,729
2019.12.31

[4학년 학예회/알라딘] 학생들과 함께 알라딘 공연 만들기

2 책읽는유쌤 0    1,136
2019.12.31

입체낭독극 - 윤동주와 헤어져/시민배우 공연후기

2 책읽는유쌤 2    1,367
2019.12.30

[유쌤의 Book극 이야기] 26. 교육연극으로 책 한 권 요약하기

2 책읽는유쌤 5    1,164
2019.10.29

[유쌤의 Book극 이야기] 25. 내가 송몽규다! (단짝 친구 때문에 힘들어 하는 모든 아이들에게)

2 책읽는유쌤 2    1,447
2019.10.28

[유쌤의 Book극 이야기] 24. 마법사와 함께한 시간

2 책읽는유쌤 0    530
Now
2019.09.26

[유쌤의 Book극 이야기] 23. 내 소문 들었어?(읽기 전 활동)

2 책읽는유쌤 3    1,826
2019.09.16

[책가방 인터뷰] 일러스트레이터 국민지를 만나다 -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그림을 그리고 싶어요!”

2 책읽는유쌤 0    1,541
2019.07.31

[유쌤의 Book극 이야기] 22. 칠판에 딱 붙은 아이들

2 책읽는유쌤 2    2,018
2019.07.07

[유쌤의 Book극 이야기] 21. 연극하며 시쓰자! - 교육연극으로 함께 시쓰기

2 책읽는유쌤 0    989
2019.06.30

[유쌤의 Book극 이야기] 20. 여덟 단어 - 여덟 단어로 책 한 권 요약하기

2 책읽는유쌤 4    1,364
2019.06.25

[유쌤의 Book극 이야기] 19. 주변 인물에 초점 맞추기

2 책읽는유쌤 0    955
  • 초기화
  • 날짜순
  • 조회순
  • 추천순
정렬
검색
  • 1
  • 2
  • 3
  • 4
  • 5

Search

+more Books
재잘재잘 그림책 읽는 시간
수상한 교육마술
수업이 즐거운 또박또박 손글씨 쓰기
핵심 역량을 키우는 수업 놀이
성찰과 성장이 있는 차근차근 블렌디드 수업
+1 초등 학부모 상담 -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인권수업 - 교실, 인권을 만나다!
토의토론수업, 배움을 디자인하다
+1 착한 공부법 - 초등 선생님들의 과외카페 〈학습놀이터〉 공부 비결
BK 선생님의 쉬운 수업 레시피
깃털쌤의 이야기가 있는 교육연극 수업
+2 이토록 솔직한 아홉 살 인생
맛있는 책 수업 천천히 깊게 읽기
+9 초등 미술 수업 52 - 쉽고 맛있게 떠먹는 보법쌤의 요플레 미술
엄마, 나도 고자질하고 싶은 게 있어 -초등학교 교사의 지나치게 솔직한 학교 이야기-
선생님의 보글보글
 
인기글
[에듀씨네 추천 - 단편 애니메이션] 2023 버젼!
지태민 +1
교사에게 3월은 정말 중요한 달일까?
악마쌤 김연민 +2
  • +2  02.28 1 동네손주 1. 그렇게 동네에 사는 할머니, 동네에 사는 손주가 되어가겠지
  •  02.24 2 영화 '혹성탈출' 온영화읽기 수업
  •  02.24 3 영화 'UP' 수업
  • +1  03.05 4 동네손주 2. 제가 당신을 동정하고 있나요?
  •  02.27 5 SNS를 버렸습니다.
  •  02.24 6 영화 '혹성탈출' 온영화읽기 수업 2
  •  03.12 7 동네손주 4. 자존감이 왜 높아져요?
  • +1  03.12 8 ‘학생자치회의 결정에 맡기자’는 말이 불편했던 이유
  • +1  03.19 9 동네손주 5. 그게 네가 나한테 준 거야, 자존감 같은 거.
  •  03.12 10 동네손주 3. 어른을 잘 대하는 재주
+more 새로운 글
세월호 엄마들의 연극 도전기를 다룬 <장기자랑> 시사회에 초대합니다!
안녕하세요! 세월호 엄마들의 유쾌 발랄 연극 도전기를 담은 <장기자랑> 시사회에 초대합니다. * 시사회 개요 - 일정: 4월 3일(월) 19:30~ - 장소: 용산CGV- 인원: 20명(1인 1매 or 2…
지태민
  •  03.23 [음악수업] 8. 나만 알고 있기엔 아까운 음악가들
  • +1  03.19 동네손주 5. 그게 네가 나한테 준 거야, 자존감 같은 거.
  • +1  03.12 ‘학생자치회의 결정에 맡기자’는 말이 불편했던 이유
  •  03.12 동네손주 4. 자존감이 왜 높아져요?
  •  03.12 동네손주 3. 어른을 잘 대하는 재주
  •  03.05 운동기구를 버렸습니다”
  • +1  03.05 동네손주 2. 제가 당신을 동정하고 있나요?
+more 댓글
  • 삼시 도안 연결이 끊겨있어요~! 재업로드 부탁드립니다.
  • 나르시스 선생님 제가 너무 늦었네요. 학기초 너무 바빠서 에듀콜라에 들어오지 않아서 답변이 늦었습니다. 선생님 메일로…
  • 딩크쌤 아웅!!!
  • 딩크쌤 두근두근해짐
  • 꿈별쌤 딱 필요한 영상입니다. 정말 감사해요!
  •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책 잘 읽고 활용해보고 싶어서 들어왔는데 도안 다운연결이 안되네요~~ bia122@naver.…
  • 모리 감사합니다^__________________^~~~ 좋은하루보내세요
  • 순수한구슬 에듀콜라 가입하면 나올 줄 알고 아침에 가입했는데 망했습니다. 파일이 다운이 안 되네요. 뭔 404 오류가 …
  • 민지예 교생이 떠날 때 통곡 ㅋㅋㅋㅋㅋ 구구절절 맞는 말들이라 뼈맞고 갑니다
  • 서성환 좋네요 ㅠㅠ 영화같아요.

 

 
사이트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EduColla 에듀콜라. All rights reserved.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