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
Toggle navigation
  • 0
  • 회원가입  |  정보찾기
  • 안내
    • 모아보기
    • 에듀콜라(EduColla)란?
    • 저자 소개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공지사항
    • 우리가 걸어온 길
  • 수업과 학급살이
    • 모아보기
    • 수업과 학급살이
  • 뉴스와 리뷰
    • 모아보기
    • 뉴스와 리뷰
  • 에세이
    • 모아보기
    • 에세이
  • 부캐
    • 모아보기
    • 부캐
  • 집필진 게시판
    • 모아보기
    • 황성진 #미립자팁 #넋두리
    • 김연민 #교실 #문제해결
    • 이은진 #인권교육 #학부모
    • 나승빈 #긍정훈육 #학급살이
    • 도대영 #소통 #공감교육
    • 김백균 #수업 #통제감
    • 김보법 #미술교육 #사진일기
    • 김진영 #교실 #제국 #잡설
    • 이보명 #감성놀이 #학급살이
    • 유새영 #슬로리딩 #어린이문학
    • 윤희정 #슬로리딩 #동화읽기
    • 박세진 #전담교사 #학급살이
    • 조유진 #학급살이 #놀이
    • 김하중 #일상 #실험 #실패
    • 박영민 #미래교실
    • 유루시아 #교단일기 #성찰 #교실툰
    • 김성영 #교실살림 #리뷰
    • 권보람 #육아#관계#부모
    • 이서로 #복직 #슈퍼우먼 #엄마교사
    • 김지혜 #온작품읽기
    • 서성환 #교사만남 #훈화말씀
    • 손명선 #생태민주주의 #모두의미술시간
    • 황의석 #시네마테라피 #영화로운교실
    • 서영인 #수업비평 #교육의정의
    • 심성익 #30대예비교사 #다양성
    • 차유미 #교실농사 #발명 #고학년
    • 천상희 #경제금융교육 #경제놀이
    • 김은진 #교실살림 #교실놀이 #생각
    • 김태희 #고학년 #관계 #게임
    • 박병주 #교육연극 #놀이 #그림책
    • 민지예 #책쓰는교실 #온작품 #자치
    • 유동현 #학급화폐 #독서 #6학년
    • 정혜란 #사진 #여행 #학급살이
    • 정명근 #스마트 #거꾸로교실 #수업
    • 송은아 #특수교육 #소통
    • 정샛별 #음악수업 #뮤지컬
    • 김은주 #고학년 #학생중심 #과학동아리
    • 유지선 #대안교육 #실천교육
    • 김기동 #교사학생 #일상 #국어는쉽다
    • 양인선 #미술교육과상식 #미지의세계
  • 특집/자유
    • 모아보기
    • 특집
    • 자유
    • 에듀캐스트
    • 에듀미디어
    • 에듀북스
  • Talk Talk!
  • 하다HADA
    • 모아보기
    • HADA 소개
    • 미술수업 프로젝트
      • 프로젝트 주제글
      • 프로젝트 실천글
    • 미술수업
      • 미술체험활동
      • 미술표현활동
      • 미술감상활동
    • 미술놀이
    • 미술문화
      • 미술 상식
      • 관람기
    • 미술수업 실패기
    • '하다' 개발 교구
    • '하다' 모임 사진첩
    • 미술교육과정 연구
    • HADA 저자들
  • 에듀씨네
    • 모아보기
    • 월간 에듀씨네
    • 이달의 추천영화
    • 영화수업 아이디어
    • 질문이 있는 영화수업
    • 영화 읽어주는 샘들
    • 단편 애니메이션/영화
    • 영화제 추천 영화
    • 선생님들을 위한 영화
    • 영화 제작 이야기
    • 에듀씨네 저자들
  • Book극곰
    • 모아보기
    • 북극곰 소개 및 곰들!
    • 좋은 어린이책을 소개합니다.
    • 저학년 Book극수업
    • 중학년 Book극수업
    • 고학년 Book극수업
    • 청소년 Book극수업
  • KATOM(카톰)
    • 모아보기
    • KATOM(카톰) 저자들
    •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
    • 가짜뉴스와 허위정보
    • 교실 속 미디어 수업
    •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 휴먼
    • 미디어리터러시 추천 도서 및 방송
  • 에콜 아카이브
    • 모아보기
    • 안홍정 #업무팁 #PC팁
    • 홍수빈 #소프트웨어 #스마트
    • 장은정 #교사성장 #학급꿀팁
    • 김서연 #영어 #국제교육개발협력
    • 정준영 #긍정훈육
    • 이준수 #사유 #그림책
    • 나영상 #사유 #비판 #육아
    • 양은석 #협력수업 #수업여행
    • 정선아 #성장 #학급살이
    • 한상모 #체육수업
    • 김경훈 #역사교육 #토의토론
    • 김성규 #수업일기 #보드게임
    • 서희정 #인성 #역량 #도전기
    • 배영훈 #교대생 #사유
    • 김다은 #수업놀이 #5학년 #새내기
    • 김여진 #어린이책 #식물 #창작
    • 이현아 #그림책 #어린이작가 #창작
    • 김수연 #6부장 #일상 #독립출판
    • 이은총 #수업디자인#실천기록
    • 안수민 #1학년 #책살이 #인터뷰
    • 최한솔 #쾌락독서 #같이읽기 #생각
    • 고채영 #비교과 #전문상담 #고민해결
    • 우진아 #6학년 #교단일기 #작은학교
    • 최다혜 #절약 #미니멀라이프 #소비
    • 우서희 #생각대화 #잡지 #창작
    • 이승기 #1학년 #미디작곡 #연구학교
  • 14 명 현재 접속자
  • 161 명 오늘 방문자
  • 7,673 명 어제 방문자
  • 76,123 명 최대 방문자
  • 9,590,482 명 전체 방문자
  • 4,191 개 전체 게시물
  • 6,100 개 전체 댓글수
  • 13,573 명 전체 회원수
홈 > 집필진 게시판 > 박병주 #교육연극 #놀이 #그림책
박병주 #교육연극 #놀이 #그림책

깃털 환대가 있는 교실

1 깃털 3 1985 11 2021.03.31 23:10

4.jpg


점심시간, 밥을 다 먹고 교실에 들어서는데 뭔가 분위기가 이상하다.

아직 점심시간은 20분이 넘게 남아있는데 아이들이 다 자리에 앉아있는 것이었다. 

 

  “응? 아직 점심시간 많이 남았는데 왜 앉아 있어?”

  “쌤!! 뒤돌아보세요”

 

 뒤를 돌아보니 칠판 가득 사랑한다고 쓰여져 있었다. 

학년 말도 아니고 뜬금없이 아직 3월밖에 안됐는데 뭔일인가 싶어 얼떨떨했다. 

멍한 상태로 칠판을 보며 눈을 껌뻑이고 있으니 뒤에서  소리들이 들려온다


 “선생님 사랑해요~~!!” 

동시에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연주가 들렸다.(우리반에는 피아노가 있다)


  아, 눈물이 가슴을 적셨다. 


“오늘 무슨 날이야? 왜 이렇게 했어요?”

“아니요, 그냥 했어요!!! ㅎㅎㅎ”


그냥이란다. 그냥.  크아! 눈물이 다시 한번 가슴을 적신다. 눈가에 방울방울이가 맺혔다. . 


 “얘들아, 정말로 고마워. 선생님 진짜진짜찐짜 너~~무 행복하다. 크… 선생님한테 이런 행복과 감동을 느끼게 해준 여러분을 만난것에 너무 감사합니다.”

 

  아이들은 내가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며 자신들도 참 행복해 했다.

 

 

 

 

 

좋은 표현도 안전함을 느껴야 할 수 있다. 


  아직 3월 중순밖에 안됐는데 어째서 이런 일이 생길 수 있었을까? 

나도 신기해서 3월 활동을 뒤돌아 봤다. 

결론은 2가지로 요약되는 것 같다.

 1. 우선 아이들을 너무 잘만났다.  

 2. 아이들과의 첫만남 부터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려고 애를 썼다. 



 내가 뭘 잘했다기 보다는 아이들을 잘 만난 덕이 8할을 한것 같다. 그리고 남은 2할은 그런 말을 해도 되는 안전한(?) 분위기를 만드는 데 집중했다.  

 

생각보다 아이들은 교실이란 공간에서 좋은 말 쓰는것을 어색해 한다.

고운말 써라 바른말 써라 말은 할 수 있지만 중요한 건  그런 말을 써도되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아, 우리반에서는 다들 이만큼 표현을 하는구나. 나도 이런 표현을 해도 되겠구나.’

 

하고 마음이 안심될 때 좋은 말도 쓸수있다.  그래서 몇년전부터는 그런말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려고 애를 쓴다. 아이들은 이 곳에서는 다소 낯간지러운 표현도 내가 할수있구나, 해도 되는구나를 느끼니 막 쏟아내기 시작했다. 올해는 그게 참 일찍 터진것 같았다. 


그래서 내가 3월에 했던 활동을 한번 돌이켜 보았다. 

 






‘환대’를 말하다. 

   새 학년으로 올라가는 것은 아이들에게 스트레스와 긴장이다.

새 학년에 올라오면 무엇이 가장 걱정되는지 물어보면 주로 새롭게 만날 친구에 대한 것들이 많았다.

낯선 공간, 낯선 사람들 사이에서 자기랑 놀아줄 친구가 있을지가 제일 걱정되는 것이다. 

 

  3월 첫날, 1년중 가장 조용한 날이다.

새롭게 만날 친구와 선생님, 그 안에서 내가 살아 남기위해 이리 저리 눈치를 보며 저마다 자기가 서있을 공간을 만들어 나간다. 아이들의 긴장된 분위기가 나 마저도 긴장하게 만든다. 

  

  “어려분 첫날, 교실에 들어오면서 제일 먼저 무엇을 했고 무슨 생각을 했나요?”

  “친구를 찾았어요 / 아는 사람있나 봤어요 / 어디에 앉을지 생각했어요.”

  “네, 그 때 아는 사람이 있으니까 어떤 마음이 들었나요? 그 친구가 알아차려주니까 어땠어요?”

  “반가웠어요 / 마음이 좀 놓였어요.”


  “맞아요. 여러분, 누군가가 나를 알아차려주는 것 만으로 기분이 좋았죠? 그것을 바로 환대라고 해요. 그저 나라는 존재를 알아봐주고 환영해 주는 것이죠. 교실의 모두가 내가 들어왔을 때 나를 알아차려주고 나에게 인사를 해준다면 여러분의 아침은 기분이 어떨까요?”


 이와 같은 식으로 환대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다. 



 

 

 

안심하고 표현할 수 있는 환경 만들어주기

1. 인사

 그리고 환대의 가장 기본인 인사의 중요성에 대하여 나의 경험담을 비롯하여 한시간 동안이나 이야기를 했다.

  해서, 우리반은 매일 아침 인사를 한다. 요즘엔 접촉식 인사를 잘 못하니 루루샘이 만들어주신 비접촉 인사 중 하나씩 선택해 인사를 한다. 그렇게 인사를 할 때마다 나는 미션으로 ‘너가 우리반이라서 참 좋아’와 같은 그 날의 좋은 말을 하나씩 낸다.

코로나시대놀이인사(루루쌤).jpg

 

  아침 자습으로 그림그리는 날도 있는데 그럴때는 말풍선을 만들어 친구에게 해주고 싶은 좋은말을 쓰게하고 몇명을 만나 댓글을 받아오는 활동도 한다. 

20210325_090938.jpg

 


  집에 갈때는 나와 개인적으로 인사를 하고 간다. 내가 앞문에 서있으면 한줄로 서서 나와 ‘사랑해요’를 주고 받으며 한명씩 빠져나가며 나와도 사랑한다는 말이 자연스러워 질 수 있도록 한다. 



2. 듣고싶은 말 알아보고 해주기

  각자 자주 듣고 싶은 말을 포스트 잇에 써서 칠판에 붙였다.

20210311_112442.jpg

한 사람씩 앞에 나와 ‘칭찬샤워’활동을 통해 그 친구가 듣고 싶은 말을 친구들이 다 해주는  시간을 가졌다.

마지막 사람이 끝나니 아이들이 “선생님도 하세요~!!”이런다.

 

그래서 선생님은 사랑한다는 말을 듣고 싶다고 했더니 “쌤 사랑해요~~~’로 샤워를 시켜줬다.

칠판에 저 활동도 이 활동을 하고 난 다음날 아이들이 작성한 것이었다.

확실히 그런 말에 자꾸 노출을 시켜주니 아이들이 서슴없이 하는 것 같다. 

저 칠판 이벤트는 그 다음주에도 이어졌었다. 아이들이 이번에는 편지존도 만들어서 만들어 줬다. 그냥 아이들에게는 하나의 놀이가 된것도 같았다. 놀이가 되면 어떤가? 너무 아름다운 놀이인것 같다.

20210322_125434.jpg




3. 밥먹기전 인사로

  급식을 먹으러 갔을때 앞에 줄이 길게 늘어지는 상황들이 있다. 그럴때면 어김없이 아이들과 한명 씩 가위바위 보를 한다. 내가 이기면 아이들이 나에게, 내가 지면 내가 아이들에게 듣기 좋은 말을 해준다.

말은 그날 그날 다르게 미션을 낸다.

 

가위바위보의 위력은 졌기때문에 어쩔수 없이 해야한다는 나름의 강제력이 있다. 아이들에게는 이게 핑계거리가 된다. 평소에는 잘 못하는 아이도 ‘가위바위보에서 졌으니까’를 핑계삼고 의지삼아 하게 된다. 이는 놀이를 할 때 적용해도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아이들은 놀이에서 ‘졌으니까’ 친구에게 어쩔수 없이 좋은 말을 해주게 되고 이런 분위기가 익숙해지면 평소에도 자연스럽게 좋은 말이 나오게 된다. 



4. 아침 편지로 

  물론 아이들에게 장려만 하는 것보다는 내가 끊임없이 써주는 것도 아주 중요한것 같다. 나도 이런말을 잘 못하고 어색하지만 꾹 참고 한다. 그나마 전날에 써놓고 가는 아침편지는 말로하는 어색함을 덜어준다. 아침 편지에서 늘 사랑한다고 말해주고 전날 있었던 일중에 인상깊은 친구의 이름을 언급해주거나  하면 그걸 또 아이들은 그렇게 좋아하는 것 같았다. 

20210325_165138.jpg






3월을 돌이켜보면 내가 한건 이정도가 다인것 같다.

사실 활동도 활동이지만 결국 아이들이 나의 의도를 잘 받아들여주었기에 가능했던것 같다.

아이들에 따라 얼마나 받아들여주는가는 분명히 차이가 있을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분명한 건 아이들도 안심하고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 자기들이 할 수 있는 만큼은 표현한다는 것이다. 초반에 조성되었다고 안하면 다시 돌아간다. 이런 분위기가 계속 되려면 교사가 계속해서 이런 환경들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스타트가 좋아도 너무 좋았던 2021년의 용트리반, 사실 그래서 좀 불안하긴 하지만 그래도 마무리 까지 계속 갈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해보고 내년 2월에도 같은 이야기를 한 번 더 쓸수 있음 좋겠다. 


11

Author

1 깃털  저자(author)

블로그 : https://blog.naver.com/az1234567

용감하게 틀리는 깃털같은 교사 박병주.
매일매일 실패하는 교실에서 교육연극, 움직임, 놀이로 학교와 소통하고 싶은 유치뽕쟁이.
깃털이 팔
랑
팔랑~~~

3 Comments
2 루루쌤 2022.02.27 15:41  
답변
새학기 글들을 찾아 정주행 중에 이 글을 봅니당.
뀨악... 매년 용기를 내고 싶은데 도저히 용기가 안나요.... ㅎㅎ
제 마음의 수위(?)에 맞는 작은 표현들에 안주합니다. 병주샘 교실에 하루만 참관해 보고 싶네요
1 샛쌤 2021.04.06 00:09  
답변
글 너무 좋네요. 환대의 중요성! 제 마음도 훈훈해지는...^^
G 깃털 2021.04.06 08:48  
답변 삭제
샛별이 오랜만이네~~ 잘지내고 있나유? 못본지 오래되어서 얼굴까먹겠다!
에듀콜라에서도 만나게되어서 반갑다는!! ㅎㅎ
댓글은 자신을 나타내는 '얼굴'입니다. *^^*
등록
이모티콘 새댓글 작성 댓글 새로고침 입력창 늘이기 입력창 줄이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목록
2023.06.25

학기말, 스트레스를 날리는 신문지 활용 놀이

1 깃털 1    371
2021.10.31

[삶을 가꾸는 글쓰기 수업] part3. 서사문쓰기(2)

1 깃털 0    978
2021.10.31

[삶을 가꾸는 글쓰기 수업] part3. 서사문쓰기(1)

1 깃털 0    860
2021.04.30

[삶을 가꾸는 글쓰기 수업] part1. 문장 살 찌우기

1 깃털 1    523
2021.04.30

[삶을 가꾸는 글쓰기 수업] part0. 글쓰기수업이 왜 필요한가?

1 깃털 0    666
Now
2021.03.31

환대가 있는 교실

1 깃털 3    1,986
2020.12.28

[#10. 한 장의 사진이 되어보자] 정지장면 만들기(타블로) / 마음의 소리

1 깃털 0    1,335
2020.12.28

[#9. 들리는 대로만 움직이면 된다구!] 해설이 있는 마임(나레이션 판토마임)

1 깃털 0    690
2020.12.27

[#8. 심리적 거리를 물리적으로 표현해 시각화 하기] 소시오그램 / 스펙토그램

1 깃털 0    780
2020.12.20

#7. 장소나 상황으로 몰입시켜주는 교육연극 기법 [소리 터널]

1 깃털 2    1,397
2020.11.08

[#6. 아이들이 전문가가 되는 교육연극기법] 전문가의 외투

1 깃털 1    961
2020.11.08

[#5. 공간을 활용하는 교육연극 기법] - 공간 꾸미기, 장애물 만들기

1 깃털 0    632
2020.10.31

[#4. 미션을 수행하게 하는 교육연극 기법] 훈련, 면접, 시험, 테스트

1 깃털 0    441
2020.10.31

[#3. 교사가 아닌 다른 역할이 되어 이끌어 가는 교육연극 기법] 역할 내 교사

1 깃털 0    795
2020.06.30

[#2. 인물을 탐구하는 교육연극 기법] 03. 핫시팅

1 깃털 0    2,360
2020.06.30

[#2 인물을 탐구하는 교육연극 기법] 02. 빈의자

1 깃털 0    1,321
2020.06.30

[#2 인물을 탐구하는 교육연극 기법] 01. 인물 그리기(Roll on the wall)

1 깃털 0    1,152
2020.06.29

교육연극 기법을 알아보자 #1. 드라마 관습이란?

1 깃털 0    1,054
2020.04.30

[선생님이 들려주는 시와 이야기] ep2. 저요! 저요!! - 선생님도 누구를 시킬지 난감하다구!!

1 깃털 0    487
2020.04.30

[선생님이 읽어주는 책 듣는 시간] - 푸른사자 와니니

1 깃털 2    1,104
  • 초기화
  • 날짜순
  • 조회순
  • 추천순
정렬
검색
  • 1
  • 2
  • 3

Search

+more Books
맛있는 책 수업 천천히 깊게 읽기
깃털쌤의 이야기가 있는 교육연극 수업
수업이 즐거운 또박또박 손글씨 쓰기
엄마, 나도 고자질하고 싶은 게 있어 -초등학교 교사의 지나치게 솔직한 학교 이야기-
핵심 역량을 키우는 수업 놀이
인권수업 - 교실, 인권을 만나다!
+1 착한 공부법 - 초등 선생님들의 과외카페 〈학습놀이터〉 공부 비결
BK 선생님의 쉬운 수업 레시피
+1 초등 학부모 상담 -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성찰과 성장이 있는 차근차근 블렌디드 수업
어쨌거나 독립일기
수상한 교육마술
+9 초등 미술 수업 52 - 쉽고 맛있게 떠먹는 보법쌤의 요플레 미술
+2 이토록 솔직한 아홉 살 인생
 
인기글
영화 <우리들> 온영화읽기 수업
정씨네 +2
월간 에듀씨네 2023-9월호 <영웅>
서원희
  •  08.28 1 거리에 선 교사들 1 : 장기전을 준비하자!
  •  09.15 2 [학교얘기만화 by루루쌤] 3.공지 + 이야기
  •  08.26 3 제5회 교육영화제(우리가 만드는 빛)
  •  09.13 4 2023년 9월 추천 극장 개봉 영화
  •  09.11 5 거리에 선 교사들 2 : 교권? 교사인권? 직무권한?
  •  09.05 미술랜 가이드 예시작품 아카이브
+more 새로운 글
[학교얘기만화 by루루쌤] 3.공지 + 이야기
루루쌤
  •  09.13 월간 에듀씨네 2023-9월호 <영웅>
  •  09.13 2023년 9월 추천 극장 개봉 영화
  •  09.11 거리에 선 교사들 2 : 교권? 교사인권? 직무권한?
  •  09.05 미술랜 가이드 예시작품 아카이브
  •  08.28 거리에 선 교사들 1 : 장기전을 준비하자!
  • +2  08.26 영화 <우리들> 온영화읽기 수업
  •  08.26 제5회 교육영화제(우리가 만드는 빛)
+more 댓글
  • 신아로미 자료 나눔 너무 감사드려요~! 혹시 선생님, 활동지에 사용하신 글씨체가 어떻게 될까요?
  • 나르시스 만들기 파일은 대부분 인디스쿨에 있거나 유튜브 링크를 통해서 다운 받으면 됩니다. 저작권이 저한테 있는 것이…
  • 박성경 이렇게 좋은 자료가 있었나요~! 감사히 잘 쓰겠습니다.
  • 도덕이 비밀댓글입니다.
  • 정씨네 ㅋㅋㅋ그렇죠
  • 지태민 이제는 고전!
  • 꾸밍 앗, 선생님! 바로 답을 주실 줄 모르고 ....ㅠ.ㅠ 아이들 학습자료? 라고 해야 하나요...만들기 파일?…
  • 위클경 너무 필요한 자료였는데 감사합니다. 학생들에게 유용하게 쓰겠습니다^^
  • 신아로미 우연히 알게 되어 수업 자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의 한계를 채워주셔서 감사합니다~…
  • 뽀롱뽀롱티쳐 귀한 자료 소중하게 잘 사용하겠습니다. 단순한 영어 수업이 아니라 깊고 따뜻하게 생각해보는 시간이 될 수 있…

 

 
사이트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EduColla 에듀콜라. All rights reserved.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