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
Toggle navigation
  • 0
  • 회원가입  |  정보찾기
  • 안내
    • 모아보기
    • 에듀콜라(EduColla)란?
    • 저자 소개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공지사항
    • 우리가 걸어온 길
  • 수업과 학급살이
    • 모아보기
    • 수업과 학급살이
  • 뉴스와 리뷰
    • 모아보기
    • 뉴스와 리뷰
  • 에세이
    • 모아보기
    • 에세이
  • 부캐
    • 모아보기
    • 부캐
  • 집필진 게시판
    • 모아보기
    • 황성진 #미립자팁 #넋두리
    • 김연민 #교실 #문제해결
    • 이은진 #인권교육 #학부모
    • 나승빈 #긍정훈육 #학급살이
    • 도대영 #소통 #공감교육
    • 김백균 #수업 #통제감
    • 김보법 #미술교육 #사진일기
    • 김진영 #교실 #제국 #잡설
    • 이보명 #감성놀이 #학급살이
    • 유새영 #슬로리딩 #어린이문학
    • 윤희정 #슬로리딩 #동화읽기
    • 박세진 #전담교사 #학급살이
    • 조유진 #학급살이 #놀이
    • 김하중 #일상 #실험 #실패
    • 박영민 #미래교실
    • 유루시아 #교단일기 #성찰 #교실툰
    • 김성영 #교실살림 #리뷰
    • 권보람 #육아#관계#부모
    • 이서로 #복직 #슈퍼우먼 #엄마교사
    • 김지혜 #온작품읽기
    • 서성환 #교사만남 #훈화말씀
    • 손명선 #생태민주주의 #모두의미술시간
    • 황의석 #시네마테라피 #영화로운교실
    • 서영인 #수업비평 #교육의정의
    • 심성익 #30대예비교사 #다양성
    • 차유미 #교실농사 #발명 #고학년
    • 천상희 #경제금융교육 #경제놀이
    • 김은진 #교실살림 #교실놀이 #생각
    • 김태희 #고학년 #관계 #게임
    • 박병주 #교육연극 #놀이 #그림책
    • 민지예 #책쓰는교실 #온작품 #자치
    • 유동현 #학급화폐 #독서 #6학년
    • 정혜란 #사진 #여행 #학급살이
    • 정명근 #스마트 #거꾸로교실 #수업
    • 송은아 #특수교육 #소통
    • 정샛별 #음악수업 #뮤지컬
    • 김은주 #고학년 #학생중심 #과학동아리
    • 유지선 #대안교육 #실천교육
    • 김기동 #교사학생 #일상 #국어는쉽다
    • 양인선 #미술교육과상식 #미지의세계
  • 특집/자유
    • 모아보기
    • 특집
    • 자유
    • 에듀캐스트
    • 에듀미디어
    • 에듀북스
  • Talk Talk!
  • 하다HADA
    • 모아보기
    • HADA 소개
    • 미술수업 프로젝트
      • 프로젝트 주제글
      • 프로젝트 실천글
    • 미술수업
      • 미술체험활동
      • 미술표현활동
      • 미술감상활동
    • 미술놀이
    • 미술문화
      • 미술 상식
      • 관람기
    • 미술수업 실패기
    • '하다' 개발 교구
    • '하다' 모임 사진첩
    • 미술교육과정 연구
    • HADA 저자들
  • 에듀씨네
    • 모아보기
    • 월간 에듀씨네
    • 이달의 추천영화
    • 영화수업 아이디어
    • 질문이 있는 영화수업
    • 영화 읽어주는 샘들
    • 단편 애니메이션/영화
    • 영화제 추천 영화
    • 선생님들을 위한 영화
    • 영화 제작 이야기
    • 에듀씨네 저자들
  • Book극곰
    • 모아보기
    • 북극곰 소개 및 곰들!
    • 좋은 어린이책을 소개합니다.
    • 저학년 Book극수업
    • 중학년 Book극수업
    • 고학년 Book극수업
    • 청소년 Book극수업
  • KATOM(카톰)
    • 모아보기
    • KATOM(카톰) 저자들
    •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
    • 가짜뉴스와 허위정보
    • 교실 속 미디어 수업
    •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 휴먼
    • 미디어리터러시 추천 도서 및 방송
  • 에콜 아카이브
    • 모아보기
    • 안홍정 #업무팁 #PC팁
    • 홍수빈 #소프트웨어 #스마트
    • 장은정 #교사성장 #학급꿀팁
    • 김서연 #영어 #국제교육개발협력
    • 정준영 #긍정훈육
    • 이준수 #사유 #그림책
    • 나영상 #사유 #비판 #육아
    • 양은석 #협력수업 #수업여행
    • 정선아 #성장 #학급살이
    • 한상모 #체육수업
    • 김경훈 #역사교육 #토의토론
    • 김성규 #수업일기 #보드게임
    • 서희정 #인성 #역량 #도전기
    • 배영훈 #교대생 #사유
    • 김다은 #수업놀이 #5학년 #새내기
    • 김여진 #어린이책 #식물 #창작
    • 이현아 #그림책 #어린이작가 #창작
    • 김수연 #6부장 #일상 #독립출판
    • 이은총 #수업디자인#실천기록
    • 안수민 #1학년 #책살이 #인터뷰
    • 최한솔 #쾌락독서 #같이읽기 #생각
    • 고채영 #비교과 #전문상담 #고민해결
    • 우진아 #6학년 #교단일기 #작은학교
    • 최다혜 #절약 #미니멀라이프 #소비
    • 우서희 #생각대화 #잡지 #창작
    • 이승기 #1학년 #미디작곡 #연구학교
  • 13 명 현재 접속자
  • 338 명 오늘 방문자
  • 4,088 명 어제 방문자
  • 76,123 명 최대 방문자
  • 9,928,676 명 전체 방문자
  • 4,205 개 전체 게시물
  • 6,108 개 전체 댓글수
  • 13,778 명 전체 회원수
홈 > 에콜 아카이브 > 이현아 #그림책 #어린이작가 #창작
이현아 #그림책 #어린이작가 #창작

통로이현아 [그림책 상담소]#01 사람들의 시선 때문에 자꾸 주눅이 들어요(쫌 이상한 사람들)

1 통로이현아 28 17157 16 2019.03.24 22:39
http://bit.ly/2JC4A7O  + 172



제목을 입력하세요 (3).png


*통로 현아샘의 그림책 상담소입니다. 2015년부터 진행한 ‘교실 속 그림책 창작 프로젝트’를 통해 아이들이 털어놓은 고민에 그림책으로 답합니다.

 

 

 

통로 현아샘의 [그림책 상담소]

#01 사람들의 시선 때문에 자꾸 주눅이 들어요.

 

 

“선생님, 저는 가면을 쓰고 사는 것 같아요. 웃지 않으면 사람들이 나를 싫어할까봐 슬퍼도 억지로 웃어요.”

 

2017년 가을이었습니다. 그림책 창작 동아리 수업으로 한창 글을 쓰던 어느 날, 6학년 현지가 이렇게 털어놓았습니다. 현지가 써온 글을 살펴보니 이런 문장으로 시작합니다.

 

‘웃어야 한다. 아무리 우울하고 힘들어도 웃어야 한다. 만약 힘들다고 말하거나 슬픈 얼굴을 하면, 많은 사람들이 내게서 떨어져 나갈 거야.’

 

이따금 주위를 둘러보면 나만 빼놓고 온 세상이 행복해 보입니다. 나만 우울한 것 같아서 마음에 주룩주룩 비가 내리기도 하지요. 이런 날 마음껏 울지 못하고 억지로 웃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아이들이 슬픔을 꺼내놓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힘든 내색을 하면 남들이 싫어할까봐요.'

'괜히 마음을 드러내면 이상한 아이 취급하니까요.'

 

슬픔을 환대받지 못한 아이들은 아픔을 꺼내놓지 않고 가슴 속에만 꽁꽁 숨겨둡니다. 그리고 이렇게 생각합니다. 

 

‘다른 애들은 다 멀쩡한데 나만 이상한 것 같아. 애들이 이런 나를 싫어하면 어떡하지?’

 

[교실 속 그림책] smile(이현지)-20.jpg

 

[교실 속 그림책] smile(이현지)-21.jpg

 

‘하루를 끝마치고 잠자리에 들기 전 

나를 바라보는 버거운 시선들이 느껴진다.’

_[교실 속 그림책] Smile (글 그림 이현지, 교육미술관 통로)

 

현지는 침대에 누워있으면 커다란 눈동자들에 둘러싸인 기분이 든다고 털어놓았습니다. 남들의 시선 때문에 위축된 심정을 사방을 둘러싼 눈동자 그림으로 표현했어요. 현지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이불을 끌어당긴 채 웅크린 아이의 모습이 떠올라 가슴이 아립니다.

 

현지의 무거운 고민을 ‘쨍그랑’ 명랑하게 깨트려 줄 그림책이 한 권 있습니다. 바로 스페인 작가 미겔 탕코가 쓰고 그린 ‘쫌 이상한 사람들(글 그림 미겔 탕코, 문학동네)’입니다.

 

107162760.jpg

 

이 그림책에는 쫌 이상한 사람들이 등장합니다. 개미를 밟지 않기 위해 다리를 크게 벌리고 걷는 사람을 보셨나요? 관객이 없어서 의자가 텅 비어있는데도 ‘즐거우면 그만’이라며 천연덕스럽게 음악을 연주하는 사람은요? 그런 이상한 사람들이 이 그림책에 모여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이 그림책을 읽어주었더니 민주가 이렇게 말합니다.

 

“엇 선생님, 그럼 저도 쫌 이상한 사람인데요? 왜냐면 저는 나무를 보면 왠지 안고 싶어지거든요!”

 

민주의 말을 받아서 지연이도 손을 번쩍 듭니다.

 

“그럼 저도 쫌 이상한 사람이에요. 저는 관절에서 삐걱삐걱 소리가 나요!”

 

몇몇 아이들이 신나게 ‘쫌 이상한’ 자기만의 특징을 꺼내놓기 시작합니다. 샤워할 때 크게 노래를 부르는 아이가 있는가하면, 귓볼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아이도 있지요. 한참 주거니 받거니 이야기를 나누는데 민철이가 이렇게 말합니다.

 

“선생님, 그러고 보면 우리 반 애들 조금씩 다 이상한 것 같아요!”

 

아이들이 모두 까르르 웃음을 터트리니 이번엔 수환이가 이렇게 말해요.

 

“그러네, 나만 이상한 게 아니네!”

 

그림책 한 권을 매개로 이야기를 주고받는 시간, 아이들은 왁자지껄 신나게 자기 이야기를 풀어놓습니다. 

 

그러나 그 중에는 쉽게 자기 마음을 표현하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내 이야기를 말로 꺼내기 쑥스러워서 친구들의 이야기를 듣기만 하는 아이들이지요. 그 아이들의 마음에도 귀를 기울이기 위해서 이렇게 제안했습니다.

 

“얘들아 남들에게 털어놓지 못했던 ‘나만의 쫌 이상한 점’을 써서 교실 우편함에 넣어보면 어떨까? 이 우편함에 쪽지를 써서 넣을 때는 이름을 쓰지 않아도 돼. 3일 뒤에 같이 우편함을 열어서 어떤 이상한 사연들이 모였는지 읽어보자.”

 

그리곤 칠판 한 쪽 구석에다가 이렇게 써놓았어요.

 

교실 우편함.jpg

 

쉬는 시간이 되자 몇몇 아이들이 교실 우편함에 모여듭니다. 우편함 곁에 놓아둔 종이를 슬며시 가져가서 꼬물꼬물 글을 쓰기 시작합니다. 쓰다말고 질문하는 아이들도 생겨나요.

 

“선생님, 저는 쫌 많이 이상한데 두 개 써도 되요?”

“물론이지!”

 

“선생님, 저는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한 게 없는데 안 써도 되요?”

“물론이지!”

 

우편함에 대한 질문의 대답은 언제나 ‘물론이지’입니다. 교실 우편함은 아이들과 자유롭게 소통하기 위한 창구이므로 특별한 제약을 두지 않아요. 아이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자기 마음을 써볼 수 있으면 그걸로 충분합니다.

 

IMG_0951.JPG

 

드디어 교실 우편함을 쓴 지 사흘째 된 날입니다. 재철이는 가방을 벗자마자 사물함 위에 올려 둔 우편함을 가지고 나와서 열어보자고 조릅니다. 우편함을 열 수 있는 열쇠는 저만 가지고 있거든요.

 

“선생님, 어서 열어봐요.”

“제가 우편함 흔들어봤는데요 쪽지가 엄청 많이 들어있는 것 같아요!”

“두구두구, 개봉 박두!”

 

아이들은 한껏 상기된 얼굴로 우리 반이 적은 ‘쫌 이상한’ 사연을 기다립니다. 첫 번째 쪽지를 펼쳐보니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IMG_0929.JPG

“나는 쫌 이상한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기분이 좋으면 아무에게나 인사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여기저기서 크큭 웃기 시작합니다. “나도 그러는데!” 하면서 조잘조잘 이야기를 시작하는 아이도 있지요. 왁자지껄한 와중에 다음 쪽지를 펼쳐보니 이렇게 적혀 있어요.

 

IMG_0935.JPG

 “나는 바퀴 벌레는 손으로 잡는다.(손은 꼭 닦는다!)”

 

‘으악’ 여기저기서 아이들이 폭소하기 시작해요. 누가 썼는지는 모르지만 이 쪽지를 쓴 아이는 빵 터진 우리 반을 보면서 내심 회심의 미소를 짓고 있겠지요.

 

다음 쪽지를 펼쳐보니 이런 글이 적혀 있습니다.

 

IMG_0943.JPG

 “나는 이상한 사람이다. 이유는 친구들이 나를 뭐라고 생각할까 무서워서 계속 ‘어떻게 하면 친구들이 뭐라고 안 할까’라고 생각하고 있다.”

 

‘어떻게 하면 친구들이 뭐라고 안 할까’ 고민하는 건 4학년도 마찬가지입니다. 6학년 때 비슷한 고민을 하면서 ‘[교실 속 그림책] Smile’을 쓰고 그렸던 현지는 이제 중학교 2학년이 되었습니다. 현지에게 메시지로 아이의 사연을 전해주면서 이렇게 물었습니다.

 

“이 글을 쓴 아이에게 한마디 답장을 해준다면 뭐라고 말해주고 싶어? 간단하게 써주면 전해줄게. 선생님이 해주는 이야기보단 선배이야기가 더욱 와 닿을 수 있잖아.”

 

4학년 후배가 털어놓은 고민에 어린이작가 현지는 뭐라고 답장을 해주었을까요? 현지의 동의를 얻어 여러분에게도 답장을 공유해드립니다.

 

“너는 이상한 사람이 아니야. 사람들마다 기준이 다르기에 너 하나로는 그 기준에 모두 맞출 순 없어. 오히려 남들 눈치를 보면서 쭈뼛거리는 것보다는 그냥 너만의 색을 마음껏 도화지에 색칠하고 다녀봐. 

 

뭐라고 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이상한 사람들이고! 너는 너 자체만으로도 굉장히 멋진 사람이야. 남의 시선으로 인해 주눅 들지 않았으면 좋겠어!”

 

KakaoTalk_20190324_210448773.jpg

 

현지가 보내준 메시지를 읽는데 눈물이 핑 돌았습니다. 현지의 내면에 자리잡은 단단한 뿌리가 느껴졌기 때문에요. 수많은 눈동자들의 압박을 이겨내고 이렇게 자기만의 답을 찾은 현지가 대견했습니다.   

 

졸업을 한 현지는 이제 조금 더 무거워진 가방을 등에 메고 더 많은 시선과 평가를 감당하며 일상을 살겠지요.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리면 또 다시 흔들릴 지도 모릅니다. 그럴지라도 현지 안에 있는 단단한 뿌리가 땅 속의 흙을 꽉 붙잡아 줄 겁니다. 더 이상 다른 사람들 때문에 주눅 들지 않고 당당하게 자기만의 잎을 피워낼거예요. 

 

다음 날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현지의 답장을 전해주었습니다. 쪽지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으니 우리 반 아이들 모두와 함께 읽었어요. 

 

아이들은 ‘선배 어린이 작가가 우리 반에게 답장을 써주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커다란 선물을 받은 것처럼 기뻐합니다.

 

“우와, 진짜 현지 선배가 써준 답장이에요?”

“이 쪽지 쓴 친구는 답장도 받고 정말 좋겠다!”

 

시끌벅적한 와중에 교실을 둘러봅니다. 

찬찬히 고개를 끄덕이는 아이, 

정지화면처럼 멈추어 한 글자 한 글자를 유심히 바라보는 아이가 있습니다. 

그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눈으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알았지? 너는 너 자체만으로도 멋진 사람이야. 그러니까 더 이상 주눅들지 마.'

 

그림책 한 권을 매개로 마음을 주고받은 이 시간이 아이에게 자그마한 용기가 되어주길 바라면서.

 

 

 

 

 

 

 

IMG_1050.JPG

 

*‘교실 속 그림책 창작 프로젝트’에 참여한 어린이작가 이현지의 그림책을 토대로 글을 썼습니다. 

그림책 '쫌 이상한 사람들'을 읽고 진행한 <교실 우편함> 수업 활동은 4학년 아이들과 함께 했습니다. 

현지를 제외한 나머지 아이들의 이름은 가명입니다.

 

 

*[통로 현아샘의 그림책 상담소]에 여러분의 사연을 보내주세요. 제 글을 읽으면서 라디오 주파수가 맞추어진 것처럼 꿈틀 꿈틀 반응하는 이야기가 있다면 편지주세요. 당신의 이야기를 가슴에 품고서 그림책을 탐독하고, 진심을 담은 답장을 선물드리겠습니다. [그림책 상담소] 사연 편지를 보내실 곳은 okastor@naver.com 입니다. 

 

*[통로 현아샘의 그림책 상담소 #01 쫌 이상한 사람들] 학습지 첨부합니다. 아이들 수업 목적 이외 상업적으로 사용하지 말아주시고 활용시 꼭 출처 표기해주세요.

통로 현아샘의 그림책 상담소 #01 쫌 이상한 사람들001.jpg

*[교실 속 그림책] Smile (글 그림 이현지, 교육미술관 통로)의 전체 본문은 아래의 링크에서 전자책으로 읽으실 수 있습니다.

https://coolbooks.coolschool.co.kr/books/78155449-2382-4885-a4af-458b033ca017

 

 

2크기변환_쿨북스-스마일 (1).png

 

 

 


 



 

16

Author

1 통로이현아  저자(author)

*글을 쓴 이현아 선생님은,
11년차 현직 초등학교 교사로 지난 6년간 ‘교실 속 그림책 창작 프로젝트’를 꾸준히 이어왔다.
'아이는 가슴 속에 자기만의 언어를 가진 존재’라는 믿음으로
그림책 수업을 통해서 아이들 내면에 숨은 이야기를 찾도록 이끌어주고 있다.
<그림책 한 권의 힘>(카시오페아출판사)을 썼다.

현재 서울홍릉초등학교에 재직 중이며,
아이스크림 원격교육연수원에서 ‘읽고 쓰고 만드는 그림책수업’ 30차시 직무연수 강좌를 진행했다.
2017년부터 ‘좋아서 하는 그림책 연구회’를 만들고 대표로 활동하면서
그림책을 매개로 학교 안팎의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고 있다.

•인스타그램 @tongro.leehyeona
•블로그 www.tongrolee.com
•교육미술관 통로 www.museum-tongro.com
•좋아서 하는 그림책 연구회 www.zoapicturebook.org

28 Comments
G 꿈꾸리 2021.03.02 15:23  
답변 삭제
선생님 안녕하세요. ^^
저는 중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감정의 주인이 될 수 있는 교육이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다 동화책 만들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번에 현아샘의 그림책 한 권의 힘이라는 책을 읽고 아이들과 함께 교과 속 내용을 주제로 그림책을 만들어볼까 합니다.

그런데 재료를 구입하는 일부터 서투르네요 ㅠㅠ
처음 동화책 만들기 수업을 시작할 때 마련해두면 좋을 준비물 리스트가 있을까요?
특히 그림책을 그릴 노트는 어떤 것이 좋을지 어디서 구입할지가 가장 궁금해요 ~~

혹시 도움주실 수 있을까요?
1 서성환 2019.03.31 16:03  
답변
우오와....범접할 수 없는 아우라가 느껴집니다. 너무 멋진 글 멋진 활동 멋진 생각이에요!
나미아 잡화점의 비밀을 읽고 저런 소통의 활동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머리만 돌리고 있었는데
너무 좋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나는 쫌 이상한 사람입니다.
저보다 멋진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다 선배님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나도 언젠가 저런 멋진 일을 할 수 있을 거라 상상합니다.
1 통로이현아 2019.03.31 17:11  
답변
캬. 성환샘, 저는 선생님 댓글에서 아우라를 느낍니다.
배움에 있어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사람은 꼭 그만큼 한 발자국 먼저 성장하시더라구요.
저도 성환샘께 많이 배우겠습니다! 앞으로 우리 더욱 가깝게 소통해요^^
1 서성환 2019.03.31 19:00  
답변
배움에 있어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사람은 꼭 그만큼 한 발자국 먼저 성장한다 - 통로이현아-

명언 자판기입니까?? ㅎㅎ
1 통로이현아 2019.03.31 21:56  
답변
이렇게 후루룩 명언을 이끌어내시다니, 성환샘 대단한 영감쟁이시군요ㅎㅎㅎㅎㅎ
1 서성환 2019.03.31 22:12  
답변
ㅋㅋㅋ 제가 영감은 못드리겠고 부담은 드릴 수 있어요....
제가 지금 병원에 입원 중인데... 병실에서 노트북하면 할배들 못주무실까봐
이 추운 병원 불꺼진 로비에서 홀로 노트북으로 에콜질하고 있어요...
제가 딱 1시간 50분만 더 현아샘 글 기다려 보겠습니다.

때 아닌 추위에 손발은 얼고
어둠속에 공포가 밀려오지만
그림책 상담소를 기대하면서 버텨보겠습니다.

저 멀리서 환영이 보이기시작하네요... 현아샘의 두번째글의 환영
1 통로이현아 2019.03.31 22:15  
영감대신 부담과 환영 감사합니다ㅋㅋㅋㅋㅋ 지금 여긴 사막 한복판이라 신기루에 기대서라도 써볼게요!!!
1 서성환 2019.03.31 22:00  
답변
영감쟁이...
안그래도 학교에서 늙수그레'라는 표현으로
교감선생님이 마음때려서 삐져있는데... ㅠㅠ
영감쟁이ㅠㅡㅠ 마상입었습니다.
[경상도에서는 노인을 친근하게 표시하는 속어로 영감쟁이, 영감탱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feat. 홍
1 서성환 2019.04.01 00:05  
킁! ㅋㅋㅋㅋ  그럼 난 병실로 들어가는 걸로 ㅠ
1 통로이현아 2019.03.31 22:07  
ㅎㅎㅎ 영감쟁이 성환님이시여 영감 좀 더 주세요 more inspiration plz!! 저 오늘 안에 <그림책 상담소> 두번째 글 올려야 합니다....1시간 54분 남았어요....엉엉
G 박수복 2019.03.26 12:01  
답변
다소 긴 글였지만 선생님이 너무 존경스럽습니다. 선생님같은 분이 많아야겠지만 많지않아도 되어요ㅎㅎ 선생님이 물꼬를 트셨으닌깐요.ㅎㅎ..제 주변인들 공교육 선생님들이지만 늘 업무와 아이들에 치여사는데... 그 물을 타고 저도 그 물을 많은 선생님들께 흘려보내겠습니다.
1 통로이현아 2019.03.27 00:16  
답변
선생님~학교에 있다보면 이렇게 아이들과 이렇게 소통하는 시간이 있어서 행복한 것 같습니다. 늘 애정어린 눈으로 보아주시고 응원해주셔서 감사드려요♡
1 수봉샘 2019.03.26 11:10  
답변
애가 어릴 때도 크게 그림책에 관심 없었는데 이제서야 관심이 생기니 어쩔 줄을 모르겠다.ㅋㅋ
그림책 무식자로서 정말 부럽고 존경스러워.
이 활동 재밌겠다.
나도 해봐야지~
1 통로이현아 2019.03.27 00:14  
답변
수연언니 웰컴 투 그림책 월드!!ㅎㅎ 언니가 아이들이랑 수업하면 유쾌한 이야기 많이 나올 것 같아! 하면 꼭 알랴줘♡ 늘 응원해줘서 고마워 언니^^
G 좋은나무 2019.03.26 07:34  
답변
감동적인 수업이네요~!선후배간의 교류라니!  최근에 나온 <내가 곰으로 보이니?>도 비슷한 맥락의 그림책이라 추천드립니다♡
1 통로이현아 2019.03.27 00:12  
답변
좋은나무샘! 선후배간 교류 같이 감동해줘서 고마워요.
샘이 추천하는 그림책이라니 믿고 바로 구매했어요.
29일에 좋그연에서 만나서 더 많이 이야기 나눠요♡
1 서현 2019.03.25 23:56  
답변
<덮으면서 다시 시작하는 그림책> 보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는데, 이번 연재도 너무 좋네요 ! 교실에 있는 우편함 저도 저렇게 활용해봐야겠어요^^
1 통로이현아 2019.03.26 00:02  
답변
와, <덮으면서 다시 시작하는 그림책> 눈여겨 보아주신 독자님이라 두배 더욱 반갑습니다!! 읽어주시고 마음 전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 서현님♡
G 열매 2019.03.25 23:20  
답변
선배가 써주는 답장에 아이들에게 얼마나 귀할까요? 아이들의 고민에 메아리쳐 돌아오는 답변이니까요!
1 통로이현아 2019.03.25 23:25  
답변
맞아요 메아리처럼 주거니 받거니 선후배가 마음을 나누는 과정이 정말 귀했어요. 눈여겨봐주는 열매샘 최고! 고마워요♡
G 박소현 2019.03.25 22:52  
답변
내 자신과 서로를 있는 그대로 존중하는 지점이 성장이 시작되는 곳이겠죠. 나는 이상한 사람이다. 왜냐하면...기발하기까지한 문장에서 마음의 여유와 자유함까지 느껴집니다. 잘 읽었습니다!^^
1 통로이현아 2019.03.25 23:22  
답변
맞아요. 서로를 있는 그대로 '존중'하는 지점이요.
나는 나라서 쫌 이상한만큼 소중하고, 너는 너라서 쫌 이상한만큼 소중하고요.
학기 초에 진행한 수업인데도 마음의 여유와 자유함 느껴주셨다니 저도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소현님 깊게 읽어주셔서 감사드려요♡
G 아그미냐 2019.03.25 21:43  
답변
댓글내용 확인
1 통로이현아 2019.03.25 23:20  
답변
댓글내용 확인
G 어그작 2019.03.25 18:32  
답변
이 세상에 같은 사람이 어디있겠어요 모두가 다른...이상한 사람들 뿐이죠! 그림책이란 아이들과의 좋은 통로가 된다는걸 한번더 느끼게 되는 글이었네요~그리고 좋은 그림책도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1 통로이현아 2019.03.25 23:18  
답변
맞아요 우리 모두는 이상한 사람들!! 어린이그림책작가 어그작 힘껏 응원해요~ 올해도 어린이작가들 곁에서 함께 성장합시다♡
G 소피 2019.03.25 17:32  
답변
교실 속에서 아이들이 깊은 이야기를 털어놓고 나눌 수 있었다니 아이들이 참 행복할 것 같아요!!
1 통로이현아 2019.03.25 23:16  
답변
맞아요 그림책이 아이들과 마음을 나누는 통로가 되어줘서 저도 행복했던 시간!! 소피샘 고마워♡
댓글은 자신을 나타내는 '얼굴'입니다. *^^*
등록
이모티콘 새댓글 작성 댓글 새로고침 입력창 늘이기 입력창 줄이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목록
2020.03.28

[현아샘의 알짜배기 집콕독서] 코로나로 미뤄진 개학, 믿고보는 책 추천+독서방법 꿀팁 1탄!

1 통로이현아 5    3,981
2019.12.03

[통로 현아샘's 미술 감상 수업] (1)피카소 그림과 대화하기

1 통로이현아 4    3,825
2019.12.03

[통로 현아샘's 그림책 이론서 및 평론서 정리] 그림책을 좀 더 깊게 읽고 싶다면?

1 통로이현아 13    16,621
2019.11.29

[현아샘's 여행에세이 #02] 지베르니- 정원의 빛

1 통로이현아 0    1,274
2019.11.29

[현아샘's 여행에세이#01] 오랑주리-겹겹이 쌓으면 반드시 일렁인다

1 통로이현아 0    1,311
2019.08.02

[뉴욕 서점에서 만나다] #04 스트랜드 (Strands)_ 언니들이 간다

1 통로이현아 3    2,393
2019.07.31

[뉴욕 서점에서 만나다] #02맥넬리 잭슨 (Mcnally jackson)_에스프레소 한 잔 마실 동안 책 …

1 통로이현아 2    2,406
2019.07.31

[뉴욕 서점에서 만나다] #01프롤로그_어떤 책공간은 안도감을 준다 (통로 이현아)

1 통로이현아 12    5,086
2019.06.29

[그림책 상담소] #05 작고 약한 새싹처럼 솎아낼까 두려워요(솎아내기)

1 통로이현아 8    3,548
2019.05.27

[그림책 한줄평] #02 내 속에도 깊은 곳에 무언가가 있을까?(짖어봐 조지야)

1 통로이현아 4    3,208
2019.05.22

[그림책 한줄평] #01 산산조각나면 아무리 꿰매줘도 아프다(고함쟁이 엄마)

1 통로이현아 10    5,295
2019.04.29

[그림책 상담소] #04모꼬지 그림책 창작 프로젝트 _내 단점 3만원에 사가실 분?

1 통로이현아 6    3,414
2019.04.28

[그림책 상담소]#03 모꼬지 그림책 창작 프로젝트_창작은 파도를 타고

1 통로이현아 13    5,421
2019.03.31

[그림책 상담소]#02 아무리 생각해도 나한텐 장점이 없어요(나는 소심해요)

1 통로이현아 18    13,257
Now
2019.03.24

[그림책 상담소]#01 사람들의 시선 때문에 자꾸 주눅이 들어요(쫌 이상한 사람들)

1 통로이현아 28    17,158
  • 초기화
  • 날짜순
  • 조회순
  • 추천순
정렬
검색
  • 1

Search

+more Books
인권수업 - 교실, 인권을 만나다!
+9 초등 미술 수업 52 - 쉽고 맛있게 떠먹는 보법쌤의 요플레 미술
성찰과 성장이 있는 차근차근 블렌디드 수업
+2 이토록 솔직한 아홉 살 인생
미래사회, 공감이 진짜 실력이다(세상을 바꾸는 교실 공감교육)
맛있는 책 수업 천천히 깊게 읽기
수상한 교육마술
핵심 역량을 키우는 수업 놀이
깃털쌤의 이야기가 있는 교육연극 수업
+1 착한 공부법 - 초등 선생님들의 과외카페 〈학습놀이터〉 공부 비결
어쨌거나 독립일기
엄마, 나도 고자질하고 싶은 게 있어 -초등학교 교사의 지나치게 솔직한 학교 이야기-
+1 초등 학부모 상담 -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수업이 즐거운 또박또박 손글씨 쓰기
BK 선생님의 쉬운 수업 레시피
 
인기글
교생들의 수업 돌아보기(2): 학습지와 ppt에 대한 의존도 낮추기
이은진
실습 3년, 교생들의 수업 돌아보기(1): 수업 활동 '무엇' 말고 '어떻게' 할 것인가?
이은진
  •  11.08 1 [학교얘기만화] 04-사라지는교실
  •  11.08 2 [학교얘기만화] 03-밀실야근
  •  11.28 3 월간 에듀씨네 11월호(아유오케이?) #학교폭력예방교육 #단편애니메이션
  •  11.28 4 [온라인 교실영화제] 지역&해외 학생 영화 교류!
  •  12.01 5 [교실놀이] 종이 한 장으로 간단히 즐기는 쁘띠바크(특히 고학년이 좋아해요!)
  •  11.07 오해2
+more 새로운 글
월간 에듀씨네 11월호(아유오케이?) #학교폭력예방교육 #단편애니메이션
월간 에듀씨네 11월호는 학교폭력예방교육 자료로 활용 가능한 단편 애니메이션 '아유오케이?' 입니다. 왕따를 당하는 친구를 위로해주는 단 하나의 따뜻한 배려의 말 '너 괜찮니?' 중간에 영어 대사가 살짝 나오기는 하…
지태민
  •  12.01 [교실놀이] 종이 한 장으로 간단히 즐기는 쁘띠바크(특히 고학년이 좋아해요!)
  •  11.28 [온라인 교실영화제] 지역&해외 학생 영화 교류!
  •  11.16 교생들의 수업 돌아보기(2): 학습지와 ppt에 대한 의존도 낮추기
  •  11.12 실습 3년, 교생들의 수업 돌아보기(1): 수업 활동 '무엇' 말고 '어떻게' 할 것인가?
  •  11.08 [학교얘기만화] 04-사라지는교실
  •  11.08 [학교얘기만화] 03-밀실야근
  •  11.07 오해2
+more 댓글
  • 중등교사 아이들과 영배도(영화로 배우는 도덕) 수업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씨네 정보 공유해주시면 잘 사용해보겠습니다!
  • 정씨네 감사합니다^^
  • 프리윌리 감사합니다. 잘 활용하겠습니다.
  • 돌돌말린현찰 이런 사이트를 발견하게 되다니 운이 좋게도! 너무 감사합니다~ 잘 쓰겠습니다^^
  • *다라 감사합니다. 자료 잘 참고하겠습니다!
  • ???? 진짜 대박..ㄷㄷ 울 학교에서 했는디 진짜 재밌음..ㅋㅋ
  • 꾸지뽕 중1 도덕 교과서에 성과 사랑의 가치 단원에 소개된 영화입니다. 선생님께서 만드신 활동지를 활용해서 청소년의…
  • 신아로미 자료 나눔 너무 감사드려요~! 혹시 선생님, 활동지에 사용하신 글씨체가 어떻게 될까요?
  • 나르시스 만들기 파일은 대부분 인디스쿨에 있거나 유튜브 링크를 통해서 다운 받으면 됩니다. 저작권이 저한테 있는 것이…

 

 
사이트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EduColla 에듀콜라. All rights reserved.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