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
Toggle navigation
  • 0
  • 회원가입  |  정보찾기
  • 안내
    • 모아보기
    • 에듀콜라(EduColla)란?
    • 저자 소개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공지사항
    • 우리가 걸어온 길
  • 수업과 학급살이
    • 모아보기
    • 수업과 학급살이
  • 뉴스와 리뷰
    • 모아보기
    • 뉴스와 리뷰
  • 에세이
    • 모아보기
    • 에세이
    • 유동현 #학급화폐 #독서 #6학년
  • 부캐
    • 모아보기
    • 부캐
  • 집필진 게시판
    • 모아보기
    • 이은진 #인권교육 #학부모
    • 나승빈 #긍정훈육 #학급살이
    • 도대영 #소통 #공감교육
    • 김백균 #수업 #통제감
    • 김보법 #미술교육 #사진일기
    • 김진영 #교실 #제국 #잡설
    • 이보명 #감성놀이 #학급살이
    • 유새영 #슬로리딩 #어린이문학
    • 윤희정 #슬로리딩 #동화읽기
    • 박세진 #전담교사 #학급살이
    • 조유진 #학급살이 #놀이
    • 김하중 #일상 #실험 #실패
    • 박영민 #미래교실
    • 유루시아 #교단일기 #성찰 #교실툰
    • 김성영 #교실살림 #리뷰
    • 권보람 #육아#관계#부모
    • 이서로 #복직 #슈퍼우먼 #엄마교사
    • 김지혜 #온작품읽기
    • 서성환 #교사만남 #훈화말씀
    • 손명선 #생태민주주의 #모두의미술시간
    • 황의석 #시네마테라피 #영화로운교실
    • 서영인 #수업비평 #교육의정의
    • 심성익 #30대예비교사 #다양성
    • 차유미 #교실농사 #발명 #고학년
    • 천상희 #경제금융교육 #경제놀이
    • 김은진 #교실살림 #교실놀이 #생각
    • 김태희 #고학년 #관계 #게임
    • 박병주 #교육연극 #놀이 #그림책
    • 민지예 #책쓰는교실 #온작품 #자치
    • 정혜란 #사진 #여행 #학급살이
    • 정명근 #스마트 #거꾸로교실 #수업
    • 송은아 #특수교육 #소통
    • 정샛별 #음악수업 #뮤지컬
    • 김은주 #고학년 #학생중심 #과학동아리
    • 유지선 #대안교육 #실천교육
    • 김기동 #교사학생 #일상 #국어는쉽다
    • 양인선 #미술교육과상식 #미지의세계
  • 특집/자유
    • 모아보기
    • 특집
    • 자유
    • 에듀캐스트
    • 에듀미디어
    • 에듀북스
  • Talk Talk!
  • 하다HADA
    • 모아보기
    • HADA 소개
    • 미술수업 프로젝트
      • 프로젝트 주제글
      • 프로젝트 실천글
    • 미술수업
      • 미술체험활동
      • 미술표현활동
      • 미술감상활동
    • 미술놀이
    • 미술문화
      • 미술 상식
      • 관람기
    • 미술수업 실패기
    • '하다' 개발 교구
    • '하다' 모임 사진첩
    • 미술교육과정 연구
    • HADA 저자들
  • 에듀씨네
    • 모아보기
    • 월간 에듀씨네
    • 이달의 추천영화
    • 영화수업 아이디어
    • 질문이 있는 영화수업
    • 영화 읽어주는 샘들
    • 단편 애니메이션/영화
    • 영화제 추천 영화
    • 선생님들을 위한 영화
    • 영화 제작 이야기
    • 에듀씨네 저자들
  • Book극곰
    • 모아보기
    • 북극곰 소개 및 곰들!
    • 좋은 어린이책을 소개합니다.
    • 저학년 Book극수업
    • 중학년 Book극수업
    • 고학년 Book극수업
    • 청소년 Book극수업
  • KATOM(카톰)
    • 모아보기
    • KATOM(카톰) 저자들
    •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
    • 가짜뉴스와 허위정보
    • 교실 속 미디어 수업
    •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 휴먼
    • 미디어리터러시 추천 도서 및 방송
  • 에콜 아카이브
    • 모아보기
    • 안홍정 #업무팁 #PC팁
    • 황성진 #미립자팁 #넋두리
    • 김연민 #교실 #문제해결
    • 홍수빈 #소프트웨어 #스마트
    • 장은정 #교사성장 #학급꿀팁
    • 김서연 #영어 #국제교육개발협력
    • 정준영 #긍정훈육
    • 이준수 #사유 #그림책
    • 나영상 #사유 #비판 #육아
    • 양은석 #협력수업 #수업여행
    • 정선아 #성장 #학급살이
    • 한상모 #체육수업
    • 김경훈 #역사교육 #토의토론
    • 김성규 #수업일기 #보드게임
    • 서희정 #인성 #역량 #도전기
    • 배영훈 #교대생 #사유
    • 김다은 #수업놀이 #5학년 #새내기
    • 김여진 #어린이책 #식물 #창작
    • 이현아 #그림책 #어린이작가 #창작
    • 김수연 #6부장 #일상 #독립출판
    • 이은총 #수업디자인#실천기록
    • 안수민 #1학년 #책살이 #인터뷰
    • 최한솔 #쾌락독서 #같이읽기 #생각
    • 고채영 #비교과 #전문상담 #고민해결
    • 우진아 #6학년 #교단일기 #작은학교
    • 최다혜 #절약 #미니멀라이프 #소비
    • 우서희 #생각대화 #잡지 #창작
    • 이승기 #1학년 #미디작곡 #연구학교
  • 8 명 현재 접속자
  • 1,006 명 오늘 방문자
  • 1,881 명 어제 방문자
  • 76,123 명 최대 방문자
  • 9,101,803 명 전체 방문자
  • 4,157 개 전체 게시물
  • 6,070 개 전체 댓글수
  • 13,180 명 전체 회원수
홈 > 에콜 아카이브 > 최한솔 #쾌락독서 #같이읽기 #생각
최한솔 #쾌락독서 #같이읽기 #생각

솔솔샘 [글단상]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2 나와 책 이야기(1)

1 솔솔샘 4 1128 2 2019.04.02 17:00

   

프레젠테이션1.jpg

 

 

 

 

 

 

 

 

#Intro

 

여러분은 질문이 생기면 어떻게 하시나요? 정답이 정해진 질문이라면 자료를 찾아보거나 책을 읽겠지만, 세상에는 정답을 알기힘든 질문들이 많습니다. 에콜에 글을 쓰는, 그리고 글을 읽는 수많은 선생님들도 질문들과 함께 삶을 걷고 계시겠지요. 

 

독서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교직에 들어선 순간부터 항상 고민했습니다. 책읽기를 방관해보기도, 다양한 활동을 시도해보기도 하며 나름의 답을 찾으려 애썼습니다. 그러나 결국 이 커다란 질문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어떻게'보다는 '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걸 알았습니다.

 

깊고 중요한 질문일수록 해답은 이미 가까운 곳에 있을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에게 물었습니다. '왜' 책을 읽어왔니? 가까워졌다 멀어졌다 하면서도 책과 절교하지 않고 지금껏 소중한 친구로 지낼 수 있었니?라고 말입니다.

 

 

 

 

 

 

 

 

KakaoTalk_20190326_231137895.jpg

 

#1

나는 삼남매 첫째다. 우리 집은 작은 방이 두 개 있는 시골집이었다. 셋이 사용하는 방은 두 평도 안되는 크기였고, 중학교에 올라갈 즈음엔 커버린 키 때문에 다리를 굽히고 잠을 자야할 정도였다.

 

그 작은 방에서 우리 셋은 꼭 붙어있었다. 그건 서로를 끔찍히 아껴서 라기보단, 꼭 붙어있어야 겨우 놀 수 있는 작은 공간만이 우리에게 있었기 때문이었다. 서로가 함께라 심심하지 않고 늘 놀거리가 있었지만, 나에게는 심심할 시간도 필요했다. 나는 늘 '나'만의 것을 강구했다.

 

하지만 우리 집에서 '나'만의 것은 없었다. 모든 게 '우리'의 것이었다. 크레파스도, 장난감도, 아이스크림도. 쌍쌍바를 쪼개지 않고 혼자 다 먹는 상상을 그때 참 많이 했다.  오롯한 나만의 것, 나만의 공간을 찾는 건 일종의 생존전략이었다.

 

그래서일까, 나는 구석을 좋아했다. 옷장 속이나 책상 밑 같은 곳 말이다. 그중에서도 책상 아래는 나의 최애 공간이었다. 동생들은 갑갑하게 책상 아래 기어들어가 있는 걸 좋아하지 않았기에 그곳은 오롯이 나만의 공간이 되었다. 이불 위에 책을 몇 권 괴어 책상을 뒤덮으면, 책상은 근사한 텐트가 되었다.

 

나는 근사한 텐트 아래 쭈구리고 누워 책을 읽곤 했다. 책상 아래쪽 책장에는 이모가 보내준 전래동화 전집 50권이 꽂혀있었다. 우리 집에 유일한 동화책이었다. 나는 그 책들을 스무 번쯤 반복해서 읽었다 . 새로운 이야기들은 항상 방구석 여행을 근사하게 만들어줬다. 어린 나는, 책을 읽는 재미만큼이나 책을 읽는 행위 자체를 좋아하고 있었다.

 

 

 

 

 

 

 

 

KakaoTalk_20190326_231138184 (1).jpg

 

#2

하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책읽기에 대한 관심은 줄어갔다. 세상에는 책 말고도 재미있는 게 정말 많았다. 친구들과 노는 것도, 컴퓨터 게임을 하는 것도, 텔레비전을 보는 것도 재미있었다. 나는 재미있는 것을 골고루 하느라 예전만큼 책을 많이 읽진 않았다. 그렇다고 책을 싫어한 건 절대 아니었다. 마음 한구석엔, ‘나는 책을 좋아하는 아이야.’ 라는 믿음이 있었다.

 

오히려 책과 나 사이를 가른 건 묘한 죄책감이었다. 어른들은 언젠가부터 "책 읽을 시간이 어디있니?"라고 말했다. 고등학교 때, 독서실에서 책을 읽다 혼난 적이 있었다. 왜 공부 할 시간에 책을 읽느냐는 것이었다. 그날은 중간고사 끝난 날이었고, 선생님은 특별히 오늘만 허락해주겠다 했다. 책은 시간이 많을 때 읽어야 하는 것, 허락을 받아야 볼 수 있는 것이 되어 있어다.

 

책은 더 이상 내 친구가 아닌 것 같았다. 일분 일초를 쪼개 살기를 강요하는 대한민국 고등학생에게 책읽기는 생각없는 미친짓이었다. 읽을거라면 그 귀중한 시간만큼의 가치가 있는 책이어야 했다. 참고서거나, 고전문학이거나, 입시나 공부법에 관련된 책.

 

 

 

 

 

 

 

 

 

KakaoTalk_20190326_231137643.jpg

 

#3

삶의 큰 사건들은 우연한 용기에서 시작된다. 단편소설이야 금세 읽으니까, 라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한 고등학교 독서모임처럼.

 

수학의 늪에서 허덕이는 여름, 학교 게시판에 공고가 하나 붙었다. 전후단편소설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독서토론모임을 방학동안 운영한다는 내용이었다. 신규 국어 선생님이 운영하시는 동아리였다. 어딘가는 도움이 되겠지 싶어 큰 기대 없이 참가했다. 애초에 전후단편소설이라니, 여섯 글자만으로 이미 노잼이지 않은가.

 

하지만 모임은 생각 외로 정말 재미있었다. 일단 함께 읽었다는 사실만으로 행복했다. 내가 이렇게 행복해도 되나, 고등학생은 그러면 안 되는 거 아닌가 하는 엉뚱한 생각까지 했다. 그때 생각했다. 아 사람들이 모이면 어떤 책도 재미있게 변신시킬 수 있구나.

 

그때부터 나는 책을 ‘함께’ 읽는 행위 자체가 좋아서 책을 읽었다. 그러다보니 꼭 재미있는 책만 골라서 읽지 않았다. 취향에 맞지 않는 책, 관심 분야가 아닌 책, 너무 어려운 책. 그들이 아니었다면 죽을 때까지 만날 수 없었을 책들을 읽었다. 그리고 그건 ‘항상’ 즐거웠다.

 

 

 

 

 

 

 

 (다음 단상)

 (그녀가 왜..?)

 

KakaoTalk_20190402_165905613.jpg

 

 

2

Author

1 솔솔샘  저자(author)

세계와 서재를 넘나드는 교실을 꿈꿉니다.

4 Comments
1 서성환 2019.04.03 10:32  
답변
맞아요 ㅋㅋ 책읽는 것은 참 즐거운 일이에요.
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그것을 하루라도 더 빨리
조금이라도 더 즐겁게 느낄 수 있는지가 독서교육의 최고 목표가 아닐까 합니다. ㅋ

저는 어렸을 때 책 거의 안 읽었어요.... ㅠㅠ
32살이 되어서야 책의 매력에 빠졌답니다 ㅠ
1 솔솔샘 2019.04.03 14:05  
답변
각자가 책에 빠지는 시점이 다른거 같아요.
그래서 아이들이 지금 당장 책에 빠지지 않더라도,
언젠가는 책에 빠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싶어요.  :)
1 서성환 2019.04.03 10:30  
답변
댓글내용 확인
1 솔솔샘 2019.04.03 14:03  
답변
댓글내용 확인
댓글은 자신을 나타내는 '얼굴'입니다. *^^*
등록
이모티콘 새댓글 작성 댓글 새로고침 입력창 늘이기 입력창 줄이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목록
2020.04.30

[미술가 함께읽기] 2탄. 고독의 화가 뭉크

1 솔솔샘 0    710
2020.04.29

[2020 책학기] 3강. 배움이 뭔데? (배움의 발견)

1 솔솔샘 0    305
2020.04.29

[2020 책학기] 2강. 공교육에 관한 짧은 생각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1 솔솔샘 0    347
2019.12.31

[2020 책학기] 1강. 이해하기엔 너무 먼 당신 (10대의 뇌)

1 솔솔샘 0    395
2019.12.31

[미술가 함께읽기] 천년의 화가, 김홍도 (2)

1 솔솔샘 0    617
2019.12.31

[미술가 함께읽기] 1탄. 천년의 화가 김홍도 (1)

1 솔솔샘 0    1,428
2019.10.31

아이들은 알고 싶다, 진짜 인싸 되는 법

1 솔솔샘 0    864
2019.09.30

[연재동기] 추천도서를 읽습니다. 학생이 아니라 교사가. 교사가 아니라 학생이 추천한 그 책을.

1 솔솔샘 3    1,337
2019.07.31

[글단상]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6 독서모임 입문하는 법

1 솔솔샘 0    746
2019.07.30

[그림낙서]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6 독서모임 입문하는 법

1 솔솔샘 2    744
2019.05.30

[글단상]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5 오래 만나는 법, 약속잡기

1 솔솔샘 0    652
2019.05.09

[그림낙서]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5 오래 만나는 법, 약속잡기

1 솔솔샘 3    1,081
2019.05.01

[글단상]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4 우리와 책 이야기

1 솔솔샘 0    919
2019.04.24

[그림낙서]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4 우리와 책 이야기

1 솔솔샘 2    1,060
2019.04.17

[글단상]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3 너와 책 이야기

1 솔솔샘 0    573
2019.04.10

[그림낙서]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3 너와 책 이야기

1 솔솔샘 2    1,126
Now
2019.04.02

[글단상]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2 나와 책 이야기(1)

1 솔솔샘 4    1,129
2019.03.27

[그림낙서]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2 나와 책 이야기(1)

1 솔솔샘 5    1,427
2019.03.12

[글단상]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1 책 권하는 사회

1 솔솔샘 2    1,050
2019.03.12

[그림낙서] 책, 왜 읽으세요? 책, 왜 읽히세요? #01 책 권하는 사회

1 솔솔샘 10    3,103
  • 초기화
  • 날짜순
  • 조회순
  • 추천순
정렬
검색
  • 1

Search

+more Books
토의토론수업, 배움을 디자인하다
수상한 교육마술
+2 이토록 솔직한 아홉 살 인생
맛있는 책 수업 천천히 깊게 읽기
+1 착한 공부법 - 초등 선생님들의 과외카페 〈학습놀이터〉 공부 비결
수업이 즐거운 또박또박 손글씨 쓰기
엄마, 나도 고자질하고 싶은 게 있어 -초등학교 교사의 지나치게 솔직한 학교 이야기-
선생님의 보글보글
인권수업 - 교실, 인권을 만나다!
BK 선생님의 쉬운 수업 레시피
+1 초등 학부모 상담 -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핵심 역량을 키우는 수업 놀이
깃털쌤의 이야기가 있는 교육연극 수업
+9 초등 미술 수업 52 - 쉽고 맛있게 떠먹는 보법쌤의 요플레 미술
성찰과 성장이 있는 차근차근 블렌디드 수업
재잘재잘 그림책 읽는 시간
 
인기글
스승의 날 대신 교권의 날은 어떨까?
악마쌤 김연민
[학교얘기만화 by루루쌤] 1. 초등교사가 힘 빠질 때 vs 힘이 날 때
루루쌤
  •  05.19 1 [루루쌤: 어쨌거나 독립일기 2] 4. 첫 전시회를 열자! (2)
  •  05.13 2 [학교얘기만화 by루루쌤] 0. 시작하며
  •  05.12 3 온작품읽기_시간고양이 #2
  •  05.09 4 900만명 돌파
  •  05.31 5 너무 사소해서 말하기 치사하지만 말해보겠습니다.
  •  05.15 온작품읽기_시간고양이 #3
+more 새로운 글
너무 사소해서 말하기 치사하지만 말해보겠습니다.
살다보면 그런 순간이 옵니다. 입밖으로 말꺼내면 내가 치사해보이는 그런 순간. 애써 모른척 넘어삼키지만 그게 또 쌓이다보면 훅 하고 열이 올라오잖아요. 우리네 교실에서, 학교에서 그런 순간들은 유독 학교 외부인에게는…
양인선
  •  05.19 [루루쌤: 어쨌거나 독립일기 2] 4. 첫 전시회를 열자! (2)
  •  05.15 온작품읽기_시간고양이 #3
  •  05.15 스승의 날 대신 교권의 날은 어떨까?
  •  05.13 [학교얘기만화 by루루쌤] 1. 초등교사가 힘 빠질 때 vs 힘이 날 때
  •  05.13 [학교얘기만화 by루루쌤] 0. 시작하며
  •  05.12 온작품읽기_시간고양이 #2
  •  05.09 900만명 돌파
+more 댓글
  • 김은수 지역아동센터에서 느린학습자 아동들을 지도하며 미술수업하려고 이책을 구매했는데 자료를 다운로드해도 열수가 없네…
  • 올리너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잘 사용하겠습니다.
  • 소량 인디에서 사이트 홍보해서 한 번 들어와봤습니다. 정말 잘 한 일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요즘 학생들에게 다양한…
  • 악마쌤 김연민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783-dg5MKl0XK8ZVUFYZ…
  • 악마쌤 김연민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783-dg5MKl0XK8ZVUFYZ…
  • 악마쌤 김연민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783-dg5MKl0XK8ZVUFYZ…
  • 김혜영 책구입해서 읽고 아이들과 함께 하면 정말 좋을것같아 들어왔는데 자료 다운로드가 안되니 좀 속상합니다. 자료를…
  • 신독 초등미술수업52를 샀는데 자료 링크가 안 되었네요. 지속적인 판매를 위해서라도 이 부분은 신경을 쓰셔야 하지…
  • 딩크쌤 이것 참 담백하고 좋은 글이에요.
  • 김백균 존중이라는 글자가 눈에 확띄네요. 이 글자를 오늘 꼭 기억해야겠어요

 

 
사이트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EduColla 에듀콜라. All rights reserved.

Close